한-독 에너지파트너십

한-독 에너지파트너십은 신재생에너지의 확대 및 신재생에너지의 계통연결, 에너지 효율성,원전 해체 그리고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저장장치, 그린 수소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 분야의 양국 협력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독일과 대한민국의 에너지 전환 가속을 위해 양국의 정치 고위급 및 다중 이해관계자 사이의 교류를 촉진합니다.

사실 & 수치

전체 발전량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율

독일의 에너지 전환의 시작은 199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한국은 2017년부터 에너지 시스템의 변혁을 시작 했습니다. 양국은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더욱 높이기로 약속했으며, 독일은 2030년까지 65%의 점유율을, 한국은 2034년까지 25.8%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8 %
독일
46 %

대한민국 (2021): Statista/KOSIS

독일 (2022): UBA

2030년 배출량 감축 목표

양국은 지구 온난화를 2도 이하로 제한하려는 파리 협정의 목표에 동조 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NDC는 (2017년 대비) 2030년까지24.4%의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규정하고 있으며, 독일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 (1990년 대비) 55% 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목표는 2019년 연방기후변화법에 명시되어 법적 구속력을 갖습니다. 그리고 두 나라 모두 2050년까지 온실가스 중립을 이루고자 합니다.

대한민국
40 %
독일
65 %

전체 최종 에너지소비량

한국과 독일은 에너지 다소비 국가로 에너지소비 감축은 두 국가에게 중요한 정치적 목표입니다. 한국은 2030년까지 최종 에너지 소비를 14.4%, 2040년까지는 18.6%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BAU대비), 독일은 2008년에 비해 2030년과 2050년까지 1차 에너지 소비량을 각각 30%, 5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298
Mtoe
독일
286
Mtoe

Both countries: Enerdata (Breakdown by country)

풍력 설치용량

풍력에너지는 양국의 에너지 전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2019년 기준 풍력 에너지는 독일 총 발전량의 24.5%를 차지했으며, 53,913 MW의 육상풍력과 7,493 MW의 해상 풍력 용량이 설치되었 습니다. 한국은 2030년까지 해상 풍력 용량을 12GW까지 증가시키기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2019년까지 1,420 MW의 육상풍력과 73 MW의 해상 풍력 용량이 설치되었습니다.

대한민국
1.9
GW
독일
66
GW

양 국가 (2022): IRENA

1인당 국내 총생산

한국과 독일은 국제적으로 비교했을때 모두 고 소득 국가입니다.

대한민국
34998
US 달러/1인당
독일
51204
US 달러/1인당

양 국가 (2019)

Source: World Bank Database (2020)

한-독 에너지파트너십에 대하여

피터 알트마이어 연방경제에너지부 장관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공동선언문에 서명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독일 연방경제에너제부의 페터 알트마이어 장관과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의 성윤모 장관, 공동의향서에 서명 후.© BMWi/ Eriksson

양국의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세계 탈탄소화에 기여하기 위해 독일과 한국은 상호 협력을 더욱 심화하기로 결정 하였습니다. 하여, 2019년 12월에 페터 알트마이어 연방경제에너지부 장관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독 에너지파트너십 체결을 위한 공동의향서에 서명했습니다. 파트너십은 에너지 전환, 신 녹색에너지 기술 및 원전 해체에 초점을 맞춘 세 개의 워킹 그룹과 함께 운영됩니다.

 

더 읽기

독일과 한국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비슷한 도전과 기회를 맞고 있습니다. 에너지 파트너십은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고 한국과 독일의 사회와 경제에 혜택을 가져오는 협력을 가능 하게 합니다.

마일스톤

한-독 에너지 파트너십은 2019년 12월 설립 이후 강력한 추진력을 얻고 있습니다. 고위급 및 워킹그룹 회의 에서 양국 부처의 대표들은 함께 파트너쉽의 디자인을 구상 하고 주요 안건들을 정의 했습니다. 또한 한-독 에너지의 날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석하는 이벤트를 통해 정계, 재계, 학계 전문가들이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을 위한 해법에 대해 알찬 교류를 할 수 있었습니다.

2020년12월07일
Mr. Young-joon Joo, Deputy Minister for Energy and Resources (MOTIE) and Mr. Thorsten Herdan, Director General, Energy Policy (BMWi) during their keynote speeches.
2020년12월07일 컨퍼런스

제 3차 한-독 에너지의 날

2020년 12월 7일

2020년10월08일
Participants from MOTIE, BMWi, NOW, KGCCI and adelphi at the 1st meeting of the WG on New Green Energy Technologies.
2020년10월08일 실무분과 미팅

첫번째 신 녹색에너지기술 실무분과 미팅

2020년09월03일
Windmills on an open field under a blue sky.
2020년09월03일 실무분과 미팅

첫번째 에너지전환 실무분과 미팅

2020년05월12일
Young-joon Joo, Deputy Minister for Energy and Resources (MOTIE), and Mr. Thorsten Herdan, Director General, Energy Policy (BMWi), sign the roadmap during a video conference.
2020년05월12일 고위급 미팅

한-독 에너지파트너십의 로드맵에 서명

2019년12월10일
Peter Altmaier, Federal Minister for Economic Affairs and Energy, and Yunmo Sung,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of the Republic of Korea, after signing the joint declaration of intent.
2019년12월10일 고위급 미팅

에너지파트너십에 서명

한-독 에너지 파트너십은 양국의 에너지 정책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에너지 전환의 미래 기회와 도전에 함께 대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양국은 에너지 전환 정책, 재생 에너지 확대 및 시스템 통합, 에너지 효율 및 에너지 절약, 그린 수소, 스마트 그리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의 미래 에너지 시스템, CO2 배출 감소와 원전 폐기 분야를 중심으로 경험과 정보 교환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우리가 제공하는 서비스

[Translate to kr:] Illustration of two people in dialogue in a green environment

정치적 대화 지원

한-독 에너지 파트너십은 에너지 문제에 대한 정부 간 고위급 대화를 지원하는 플랫폼 입니다. 우리는 고위급 및 실무자급 정책회의를 준비 및 실행하고 독일과 한국의 관련 기관 간 교류를 기획, 조직합니다.

[Translate to kr:] Illustration of 2 people at a desk, talking with chat symbols above their heads

Best-Practice 교환 촉진

한국과 독일 양국은 이미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것의 가치를 인정하고 서로에게 배우는 것이야말로 한-독 에너지파트너십의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전문가 사절단을 구성하고 동행합니다.

[Translate to kr:] Three people standing in a red/brown environment with palm trees

산업계와 정치계를 연결

우리는 산업계와 정치계의 가교를 구축하고 의사 결정자에게 접근을 용의하게 해 파트너십 국가에 귀하의 입장이 전달 될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벤트

2020년12월07일

제 3회 한-독 에너지데이

2020년 12월

올해 한-독 에너지의 날은 정·재계·학계 160여명이 참석 하여 디지털 컨퍼런스로 열렸습니다. 첫째날은 사회적으로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에 초점을 맞춘 반면, 둘째 날은 그린 수소를 주제로 하고 가상 전시회도 열렸습니다. 셋째 날, 해상풍력과 태양 에너지의 잠재성 및 기술을 탐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Mr. Young-joon Joo, Deputy Minister for Energy and Resources (MOTIE), and Mr. Thorsten Herdan, Director General, Energy Policy (BMWi), during their keynote speeches.
2020년12월07일
기조연설 중인 주준영, 에너지자원실장 (산업통상자원부) 과 토스턴 헤르단, 에너지정책 실장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 © KGCCI / adelphi
2020년05월29일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주제로 한 한-독 에너지전문가 좌담회

제 7회 한-독 에너지전문가 좌담회 에서는 양국의 에너지 전문가에게 건축 부문의 에너지 효율 향상에 관한 전략, 과제, 및 성공 사례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습니다.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한-독 에너지전문가 좌담회가 처음으로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습니다.

2020년05월29일
환영사 중인 주한 독일대사관의 Mr. Winkler 부대사 © KGCCI
2021년11월30일

그린 수소를 주제로 한 한-독 전문가 미팅

2021년 11월 30일, 한-독 에너지파트너십의 신 녹색에너지기술, 실무분과 2의 한-독 전문가 미팅이 그린수소를 주제로 열렸습니다. 이번 미팅은 양국의 그린수소 전략,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및 해상풍력을 통한 그린 수소 생산에 초첨이 맞춰졌습니다.

2021년11월30일
© KGCCI / adelphi
2019년12월10일

에너지효율성을 주제로 한 스터디트립

2019년 12월,에너지 효율을 주제로 한 독일과 한국의 대화를 심화 시키기 위해 베를린에서 4일간의 스터디 트립이 있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산하기관, 한국전력공사, 연구소, 언론인등 24명으로 구성된 한국 대표단이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 및 몇몇 독일 대기업을 방문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대표단은 독일 산업과 건축 분야의 에너지 효율 제도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South Korean delegation visits Berlin to learn about energy efficiency policies and initiatives in Germany.
2019년12월10일
한국 대표단은 독일의 에너지 효율정책과 이니셔티브를 배우기 위해 베를린을 방문하였습니다. © Norman Langbecker - oav
2019년10월24일

제 2회 한-독 에너지데이

제2회 한-독 에너지데이에는 관련 전문가 100여 명이 모여 스마트 그리드의 재생 에너지 시스템 통합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한국은 에너지 저장 및 스마트 그리드 기술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고 독일은 재생 에너지와 유연한 전력망 개발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서울에서 열린 국제 재생 에너지 컨퍼런스(KIEC)와 함께 열렸습니다.

Thorsten Herdan, Director General, Energy Policy (BMWi), gives a keynote speech at the 2nd Korean-German Energy Day.
2019년10월24일
제 2회 한-독 에너지데이에서 기조연설 중인 토스턴 헤르단 에너지정책 실장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 © KGCCI
No events found

미디어

Brochure

풍력 발전의 지역 수용을 개선하기 위한 독일의 정책적 관행

Download PDF
Brochure

한국의 신재생 에너지의 계통 통합 및 스마트그리드

Download PDF
Brochure

한국의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에 대한 수용성 높이기

Download PDF
Brochure

독일의 국가 수소 정책

Download PDF
Brochure

투명한 전기요금

Download PDF
Brochure

원자력 에너지의 단계적 폐기

Download PDF

파트너

이니셔티브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

www.bmwk.de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의 핵심 과제는 사회적 시장경제를 활성화하고 장기적으로 혁신을 유지하며 독일의 사회적 구조를 강화하는 것입니다. 본 부처는 에너지 분야 등, 관련 임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법적, 행정적, 조정적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english.motie.go.kr/www/main.do

산업통상자원부는 상업, 투자, 산업 그리고 에너지 분야에 있어 폭 넓은 임무 완수를 위한 여러가지 복합적인 대처로 경제성장의 토대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실행기관

adelphi는 기후, 에너지, 환경 및 개발에 관한 독립적인 싱크탱크이자 공공정책 컨설턴트이며, 연구, 대화, 협의를 통해 글로벌 거버넌스를 개선하는 것이 주요 과제 입니다. adelphi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수요 주도형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부, 국제기구, 기업 및 비영리단체의 글로벌 과제 해결을 위한 전략 설계를 지원합니다.

실행 협력기관

한독상공회의소 (KGCCI/AHK Korea)

korea.ahk.de/en/

한독상공회의소는 1981년 설립된 이래 독일과 한국의 발전하는 경제 관계를 지속적으로 지원해 왔습니다. 양국의 신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효율 향상 기조에 발맞춰 한독상공회의소는 독일 에너지 솔루션 이니셔티브와 한-독 에너지 파트너십의 프로젝트를 통해 관련 기업과 정책 이해관계자 간의 양자 교류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EN